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들에게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시설장애인의 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사업
<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
◦ 시설장애인은 그들이 가진 장애로 인해 사회적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고, 지역사회와의 분리된 생활로 인해 발달단계에 필요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시설장애인의 80%를 차지하는 발달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과 달리 사회적 기술의 결함으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거절이나 무시를 당하게 되면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수줍음, 불안한 태도, 두려움, 신경질적 특성을 보임으로써 사회통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됨
특히 지난 3년간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하여 정부에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제시하고 있는 각종 지침은 장애인의 외출·외박 금지, 방문자 접근 금지, 외부활동 금지 등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시설 내에서만 머무르도록 하고 있는데 집중되어 있는 상황으로 시설장애인에게는 지역사회 미참여, 타인과의 교류 중단, 고립, 관계 단절 등으로 우울감 및 고독감이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더욱이 시설종사자 역시 업무 외 개인 활동의 자제 등으로 인해 코로나블루 현상이 만연되어 있음
◦ 이에 금융산업공익재단은 시설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시설장애인들의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 금융산업공익재단과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가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선정한 장애인거주시설 20개소
◦ 문화예술활동 지원비 : 시설당 7백만원 이내 지원
< 지원대상 >
- 장애인복지법 제 58조 및 제59조에 의해 신고된 장애인거주시설
- 공고일로부터 시설운영 3년 이상 경과한 장애인 거주시설
- 최근 장애인거주시설 평가점수가 ‘C등급’이상인 시설
- 최근 5년간 지방자치단체 및 공동모금회 등 기타 재단·기업 등으로부터 동일 사업으로 지원을 받은 내역이 없는 시설
□ 2021년 추진 실적
- 총 133개 응모 시설 중 최종 선정된 28개 시설
: 양평천사의집, 동방아동재활원, 신망애재활원, 애덕의집, 하늘의별, 해든솔, 예지원, 예원, 예림원, 자생원,
남해소망의집, 꿈의동산, 애광원, 진해재활원, 섬진강사랑의집, 엘림소망의집, 선인재활원, 천사들의집, 대동시온재활원, 나눔빌,
나포길벗공동체, 밝은집, 동백원, 소화천사의집, 누리재활원, 새둥지, 성심농아재활원, 아모르뜰
* 애덕의집 작품전시회(2021.11.8) 참관 (아래 첨부 사진 참조)
※ 2021년 시설장애인 능력개발 및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아래 6. 첨부파일에서 pdf 파일 참조
□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 1983년 민법 제32조 및 장애인복지법 제63조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 발전을 통하여 장애인의 권익을 증진하며 건전한 사회참여를 유도하고 장애인 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보급하여 장애인 복지 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
- 장애유형별거주시설(257곳), 중증장애인거주시설(227곳), 장애인공동생활시설(179곳), 장애인단기거주시설(94곳), 개인운영신고시설(44곳), 장애인영유아거주시설(9곳) 등 회원시설 총 814개소
□ 신청기간 : 2022.6.7.(화) ∼ 2022.6.21.(화)
- 총 88개 응모시설 중 23개소 최종 선정
: 가롤로의집(제주), 구산원(충남), 동해시장애요양원(강원), 라온누리(부산), 로뎀(대전),
메종드에뜨왈(충남), 목포장애인요양원(전남), 미소마을(대구), 동천휴(서울), 선명요육원(대구),
성락원(경북), 애명다온빌(경북), 애지람(강원), 영락애니아의집(서울), 예원의집(경북),
요셉의집(경기), 우리복지원(충남), 자광원(제주), 평화재활원(경기), 한길마을(경기),
해뜨는집(경기), 향기마을(경북), 훈훈한집(전북)
* 자세한 사항은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홈페이지 (http://kawid.or.kr) 및 안내 공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