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사업소개

지역사회·공익 사업

아동복지 종사자 정신건강 지원

1. 사업 개요

코로나19 상황에 학대피해·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대면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종사자들의 정신건강 회복과 아동복지서비스 질적 제고를 위해 개인 심리상담 및 회복지원, 체험형 힐링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

2. 특징

<추진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19로 아동 학대 및 방임 등의 사회적 문제가 급증(19.4%)하면서 관련 종사자의 업무량 증가
○ ‘코로나19 사회복지종사자 안전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우울감과 우울 위험군이 심각한 상황. 특히 여성 종사자의 우울 위험군 정도가 심각하여 정신건강 치료가 시급히 필요한 수준
※ (실태조사 中 우울 위험군) 여성 사회복지종사자 22.1% > 사회복지종사자 19.2% (일반인 5배)
○ 감정노동으로 인한 인력의 소진, 불안 등은 사업의 질적 수준과 직결되기에 종사자들의 정신건강 및 인권보장을 위한 지원 절실


<사업내용>
① 협력 기반 조성
- 금융산업공익재단-아동권리보장원 간 업무 협약 체결
- ‘아동복지종사자 심리상담 및 치료 지원 협의체’ 구축・운영
② 아동복지종사자 심리진단 매뉴얼 개발 및 성과 분석
③ 아동복지종사자 개인 심리상담 및 치료 지원
④ 아동복지종사자 체험형 힐링프로그램 운영 지원
⑤ 사업 성과 관리 및 지속 가능성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3. 사업 수혜 자격

<지원대상>
◦ 아동복지종사자 2,600명(드림스타트, 아동학대관련 종사자 등)
※ 단계별 대상
(1단계) 드림스타트, 아동보호전문기관, 학대쉼터 종사자 전원 (총 2,614명)
(2단계) 자가진단 결과 고위험군 분류된 종사자 (총 인원의 20% 예상)
(3단계) 운영 지원 협의체 심사를 통해 지원이 선정된 종사자 (약 400명)

<지원내용>
- 금융산업공익재단 : 사업 운영 관리 및 예산 지원
- 아동권리보장원 : 사업 운영 지원 및 모델화 준비

□ 사업 추진 실적(2021.7.6.∼2022.7.15.)
ㅇ 아동복지종사자 심리진단 및 회복지원
- 온라인 심리검사: 1,938명
- 해석상담: 493명
- 종합심리평가 및 개인상담: 306명
- ·비대면 교육: 101명
- 스트레스 관리매뉴얼 배포: 404개소
ㅇ 체험형 힐링프로그램 운영 지원
- 아동복지 종사자: 822명
- 아동복지기관 : 40개소

※ 2021년 아동복지종사자 정신건강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 아래 6. 첨부파일에서 pdf 파일 참조

4. 협력 기관

□ 아동권리보장원
◦ 「아동복지법」제10조의2(아동권리보장원의 설립 및 운영) 아동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수행과 아동복지 관련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의 수립을 지원하고 사업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아동권리보장원 설립
◦아동정책 및 아동복지 관련 사업을 종합적·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아동의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5.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방법
-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 참조 (https://www.ncrc.or.kr/)

□ 사업기간 : 2021.7. 6. ∼ 2022. 7. 15(사업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