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사업소개

지역사회·공익 사업

시설장애인 미니멀특장차 지원

1. 사업 개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동약자)들의 자유로운 지역사회 생활과 이동 편의를 돕기 위해 미니멀특장차를 지원하는 사업

2. 특징

<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

◦ 장애인거주시설은 전국 1,539개소에 29,086명의 일반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거주·요양·지원 등 생에 전반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임

◦ 거주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주체적이고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도가 그 어느 때보다도 높고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거주시설 장애인의 시설 외부에서의 취미 및 여가생활 · 사회생활 · 이웃관계, 병원진료 · 치료 · 상담, 등 · 하교 등의 지원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음, 집단활동과 통제 중심이 아닌 일대일 개별지원을 중심으로 한 지원이 거주시설 서비스의 목표로 설정되고 있음

◦ 그러나 대부분의 장애인거주시설이 농어촌·산간 지역이나 도시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지역사회로의 접근성이 어려운 상황임. 특히 시설장애인 중에서도 와상·뇌병변 장애인(이동약자)들은 휠체어를 사용함에도 휠체어를 싣고 내릴 수 있는 특장 차량이 없거나 해당 특장차량 관련 서비스를 받는 것에 많은 제약이 있어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활동에 어려움이 많음

◦ 이에 금융산업공익재단의 “장애인거주시설 미니멀 특장차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동약자)들의 자유로운 지역사회 생활과 이동 편의를 지원하고자 함

3. 사업 수혜 자격

◦ 금융산업공익재단과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가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선정한 장애인거주시설 10개소

◦ 미니멀특장차 10대 (특장 전용으로 개조한 레이경차 시설당 각1대씩 지원)

< 지원대상 >
- 장애인복지법 제 58조 및 제59조에 의해 신고된 장애인거주시설
- 공고일로부터 시설운영 3년 이상 경과한 장애인 거주시설
- 최근 장애인거주시설 평가점수가 ‘C등급’이상인 시설
- 현재 소유하고 있는 차량의 노후로 교체가 필요한 시설
- 최근 5년간 지방자치단체 및 공동모금회 등 기타 재단·기업 등으로부터 차량 지원을 받은 내역이 없는 시설
- 차량인도에 따른 등록비용(취/등록세, 등록대행수수료)을 부담할 수 있는 시설


□ 2021년 추진 실적
- 총 89개 응모 시설 중 최종 선정된 10개 시설
: 라우렌시오빌(충북), 만복원(전북), 사랑마을(경북), 샬롬원(인천), 아담 중증장애인거주시설(대전), 아름다운집(충남),
아이원(충남), 연화원(경북), 인정원(전남), 참샘마을(전남)

※ 2021년 장애인거주시설 미니멀 특장차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아래 6. 첨부파일에서 pdf 파일 참조

* 2022.11.25(금). 10개 장애인거주시설 전달식 완료 (아래 첨부 사진 참조

4. 협력 기관

□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 1983년 민법 제32조 및 장애인복지법 제63조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 발전을 통하여 장애인의 권익을 증진하며 건전한 사회참여를 유도하고 장애인 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보급하여 장애인 복지 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

- 장애유형별거주시설(257곳), 중증장애인거주시설(227곳), 장애인공동생활시설(179곳), 장애인단기거주시설(94곳), 개인운영신고시설(44곳), 장애인영유아거주시설(9곳) 등 회원시설 총 814개소

5.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 2022.6.7.(화) ∼ 2022.6.21.(화)
* 자세한 사항은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홈페이지 (http://kawid.or.kr) 및 안내 공문 참조

※ 2022년 사업대상시설 선정 완료
- 총 75개 응모시설 중 10개소 최종 선정
: 극락마을(경북 예천군), 대성한울타리(부산), 동연요양원(울산), 룸비니동산(대구), 메종드로제(충남 아산), 보담하우스(전남 폭포), 성세재활원(대전),
승가원자비복지타원 자비마을(경기 이천), 아름다운누리(경기 파주), 은송의집(경남 김해)